전통 건축물의 돌림자 (格)
(문화재를 이해하는 방법)
“집”이라는 한자를 축출해 보면, 우선 집 ‘가(家)’ 를 비롯하여 ‘사(舍)’, ‘원(院)’, ‘택(宅)’,
‘서(署)’ …등 무려 50여 글자가 나타 난다고 한다.
왜 한자에 있어 ‘집’이라는 글자가 유독 이렇게 많을까?
사람도 갑, 을, 병이 있듯이 집에도 여러 류가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집, 즉,
우리 건축물의 돌림자(格)을 알면 문화재가 보인다.
다시 말해 우리 건축물의 ‘돌림자(格)’를 알면 건축물이 뜻하는 상징성은 물론
용도까지 금방 알게된다. 뿐만 아니라 우리 선조들이 쓰던 사람의 호칭까지도 알게된다.
사찰에 가면 무슨 대웅전(大雄殿)이니 극락전(極樂殿), 궁궐에 가면 사정전(思政殿),
인정전(仁政殿) 하는 ‘전(殿)’의 건축물을 접하게 된다.
또 설선당(設禪堂)이니 희정당(凞政堂)이니 하는 ‘당(堂)’의 건축물도 있다.
그런가 하면 보신각(普信閣), 규장각(奎章閣)하는 ‘각(閣)’의 건축물도 있다.
그러면 건축물의 격(格: 돌림자)을 살펴보자.
-. 전(殿) : 궁궐에 있어 제일 으뜸 공간. 즉, 나랏님과 왕비의 공간을 뜻한다.
또 사찰에 있어 부처님의 공간을 의미한다.
-. 당(堂) : 비즈니스(Business) 공간. 즉, 일하는 집무실을 뜻한다.
*. 참고로, 군주제 아래서 ‘전(殿)’은 궁궐에서만 존재했고,
지방에서는 ‘당(堂)’ 이상의 건축물은 없다.
-. 합(閤) : 나랏님 즉, 국정운영권자의 휴식공간 여가공간을 뜻한다.
-. 각(閣) : 알림의 공간을 뜻한다. 범종각이니 보신각이니 하는 건축물이 그 좋은 보기다.
-. 제(齊) : 일반인들의 살림집을 뜻한다.
-. 헌(軒) : 지방 관아(관공서) 건축물을 뜻한다. 동헌(東軒) 같은 건축물이 그 보기다.
-. 루(樓) : 접대공간 또는 영빈관의 성격을 띄었을 뿐만 아니라 회의공간도 된다.
이를테면 광한루(廣寒樓)나 궁궐안의 경회루(慶會樓)가 그 좋은 예다.
그런데 루(褸)가 성곽에 설치되면 망루의 개념으로 지휘소의 공간이다.
또 사찰에 있어 범종각 건축물이 2층 구조일 경우는 범종각이 아니라
범종루라 부른다.
-. 정(亭) : 사색의 공간. 즉 생각이 머무는 자리다.
이것들을 다시 정리하면
전(殿) – 당(堂) – 합(閤) – 각(閣) – 제(齊) – 헌(軒) – 루(樓) – 정(亭) 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래서 나랏님을 부를 때 전하(殿下), 왕비를 중전(中殿)이라 하며, 당의 건물에서 집무하는 조정 중신을 일러 당상관(堂上官), 당하관(堂下官)이라 불렀다.
그 외에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것들 가운데,
-. 묘(廟) : 역대 군왕과 왕비, 추존 왕과 왕비를 모셔 놓은 나라 최고의 신전(종묘).
-. 단(壇) : 나라의 제사터 (사직단)
-. 당(堂) : 지방(마을)의 제사터 (선황당)
-. 대(臺) : 수직적으로 높은데서 바라다 본 경치가 좋은 곳 ( 경포대 )
-. 동천(洞天) : 수평적으로 경치가 좋은 골짜기(수락동천) 같은 것이 있다.
발췌: 2008년1월15일 태평로클럽에서 이홍환(李洪煥)( (사)한배달 여지학회장)의
한국문화 유산 우리문화재 바로보기 특강 요약문
1-2
문화재 등급
비슷한 것 같은데 조금씩 다름.
구 분 설 명 예 |
국 보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 문화의 견지에서 숭례문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훈민정음 건조물, 전적, 서적,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흥인지문 보 물 고고자료 등의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 대동여지도 사 적 유적, 제사, 신앙, 정치, 국방, 산업, 교통, 토목, 교육 수원 화성 사회사업, 분묘, 비 등으로서 중요한 것 경주 포석정 명 승 기념지 중 경승지로서 중요한 것 명주 청학동, 소금강 천연 기념물 기념물 중 동물(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포함) 측백수림 식물(자생지 포함), 지질, 광물로서 중요한 것 노랑머리 백로 무형문화재 연극, 무용, 음악, 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재 소산으로서 종묘 제례악, 역사 상 또는 예술 상 가치가 큰 것 양주 별산 대놀이 유형 문화재 건조물, 전적, 서적,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강화 석수문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 상 또는 예술 상 가치가 마애여래좌상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 민속자료 의식주, 생산, 생업, 교통, 운수, 통신, 교역, 사회생활, 덕은공주 당의, 신앙, 민속, 예능, 오락, 유희 등으로서 중요한 것. 안동 하회마을 |
2-2
'삶의 향기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하루만 해보자★ (0) | 2009.08.28 |
---|---|
워런 버핏의 생활 철학-펌글 (0) | 2008.09.11 |
[스크랩] 새벽형 인간 (0) | 2008.02.13 |
[스크랩] 인생을 풍요롭게 하는 칭찬 법 (0) | 2008.02.13 |
나의 별 ( 정유찬 시) (0) | 2007.10.10 |